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게재문의]
홍보실 Tel : 821-5015,7047 / E-Mail : hongbo@cnu.ac.kr

이종수 교수팀, ‘Cellular & Molecular Immunology’ 논문 게재

내용보기
이종수 교수팀, ‘Cellular & Molecular Immunology’ 논문 게재 사진1

면역반응 극대화 및 지속성 향상을 위한 ‘백신보조제’ 신규 개발 및 효능 입증

“신종 감염병에 대한 차세대 백신 개발에 활용 기대”

 

수의과대학 이종수 교수팀이 성균관대 임용택 교수팀,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최영기 소장 연구팀과 함께 백신의 면역반응 극대화와 지속면역 향상을 위한 어쥬번트* 플랫폼인 ‘SE(Trojan-TLR7/8a) system’을 신규 개발했다.

* 어쥬번트(adjuvant): 면역 반응을 증강시키는 보조제

이번 연구는 세계적 저명 학술지인 ‘Cellular & Molecular Immunology’(IF: 21.8)에 6월 25일, 온라인으로 게재됐으며, 충남대 Asha Wickramasinghe 박사과정생이 공동 제1저자로, 이종수 교수와 임용택 교수 그리고 최영기 소장이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기존 백신 플랫폼은 항체 중심 면역에 의존해 장기면역 형성이나 다양한 바이러스 변이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감염 세포의 제거와 기억 면역 유지에 핵심적인 면역세포인 CD8⁺ T세포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점이 주요한 한계로 작용해 왔다.

공동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어쥬번트 플랫폼을 개발했다. 세포 내 작용 시점과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톨유사수용체 7/8 작용제 ‘Trojan-TLR7/8a’에 임상승인을 받은 스쿠알렌 기반 나노에멀젼 ‘SE’을 안정적으로 탑재해 ‘SE(Trojan-TLR7/8a)’ 플랫폼을 완성했다.

SE(Trojan-TLR7/8a) 플랫폼은 백신 전달 속도와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다중스케일 면역조절)함으로써, 면역반응의 질과 지속성을 모두 향상시키는 혁신적 기술로 림프샘 내 지속적인 면역 활성화를 통해 강력한 항체반응과 더불어 효과적인 면역세포인 T세포 반응을 유도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SFTSV) 등 다양한 병원체 모델에서 범용적이고 장기적인 보호 능력을 이번 연구를 통해 입증했다. 

이종수 교수와 연구팀은 “새롭게 개발된 SE(Trojan-TLR7/8a) system이 백신항원에 대한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보호 면역을 유도할 수 있어 향후 차세대 백신 실용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차세대 범용 인플루엔자 백신의 개발 및 SARS-CoV-2와 같은 신종 감염병에 대한 백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 논문 제목: Multiscale dynamic immunomodulation by a nanoemulsified Trjoan-TLR7/8a adjuvant for robust protection against heterologous pandemic and endemic viruses

□ 논문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23-025-01306-6




페이지 관리자 | 대외협력실(5015)

관리자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