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게재문의]
홍보실 Tel : 821-5015,7047 / E-Mail : hongbo@cnu.ac.kr

명창선 교수팀, ‘Autophagy’ 논문 게재

내용보기
명창선 교수팀, ‘Autophagy’ 논문 게재 사진1

자가포식-억제를 통한 새로운 항비만 기전 제시

 

약학대학 명창선 교수와 한주희 박사는 지방세포 분화조절 인자 중 하나인 Kruppel Like Factor 3 (KLF3)가 SQSTM1/p62 매개 선택적 자가포식(selective autophagy)을 통해 발현이 감소된다는 것을 밝히고, KLF3는 지방세포 분화의 주요 전사인자인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α)의 음성 조절자(negative regulator)로서, KLF3의 발현이 증가하면 지방세포 분화를 위한 유전자들의 전사를 감소시켜 지방조직의 비대화를 억제한다는 것을 보고했다. 

아울러, 자가포식 기전(autophagy flux) 활성화에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STAT3)와 ribosomal protein S6 kinase A1 (RPS6KA1)이 관여하고, 두 단백질의 인산화 감소가 자가포식 작용을 억제해 KLF3의 분해를 저해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이는, 항비만 물질로 알려진 가르시니아(Garcinia cambogia)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억제 작용이, STAT3와 RPS6KA1 인산화 억제를 통해, SQSTM1/p62-매개 선택적 자가포식-유도 분해를 저해함으로써 KLF3의 발현을 증가시켜 나타난다는, 새로운 분자적 기전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저명학술지인 ‘Autophagy’”(IF: 16.016) 6월 8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 Garcinia cambogia attenuates adipogenesis by affecting CEBPB and SQSTM1/p62-mediated selective autophagic degradation of KLF3 through RPS6KA1 and STAT3 suppression)

연구팀은 “대사성질환으로서의 비만은 체내 지방세포 분화과정을 통한 지방조직의 비대화가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가포식(autophagy)은 세포가 불필요하거나 기능하지 않는 구성성분을 분해하고 파괴하는 기전”이라며, “자가포식에 의한 특정 신호전달 물질의 분해를 조절할 경우 다양한 질병의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페이지 관리자 | 대외협력실(5015)

관리자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