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게재문의]
홍보실 Tel : 821-5015,7047 / E-Mail : hongbo@cnu.ac.kr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선정

내용보기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선정 사진1

‘대전·세종·충청권 초실감형 나노·반도체 공동연구소’ 설립 

2025년까지 건축비, 지자체 대응자금 등 총 358억원 투입 

초실감용 나노·시스템 반도체 교육·연구 생태계 조성

충남대-대전시 등 지역사회 혼연일체, 나노·반도체 산업 메카 도약 발판

 

충남대학교가 정부의 반도체 인력양성 방안의 일환으로 비수도권 지역 반도체 교육·연구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게 될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사업에 지정됐다.

교육부는 5월 15일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 사업 대상자로 충남대 등 4개 대학을 최종 선정 발표했다. 권역별로 전남대-Ⅰ권역(전남, 전북, 광주), 부산대-Ⅱ권역(경남, 제주, 부산, 울산), 경북대-Ⅲ권역(경북, 강원, 대구), 충남대-Ⅳ권역(충남, 충북, 대전)이 선정됐다.

정부의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의 후속 조치 일환으로 추진되는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는 산업계 인력난 해소를 위해 비수도권 지역에 교육·연구·실습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이다. 

교육부는 이번 사업 수행기관 선정된 대학에 2025년까지 건립비 총 657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또,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가 준공된 이후인 2026년부터는 지역이나 산학 공동 활용 등을 전제로 특화 분야별 장비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충남대는 정부 지원으로 164억원의 건립비, 대전시 대응자금 164억원, 충남대 대응자금 30억원 등 총 358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대전·세종·충청권 초실감형 나노·반도체 공동연구소(SUPEx Fab.: Supporting University Performance of user Experience)’를 설립해 수도권 이남 지역으로 K-반도체 벨트 확대를 위한 관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충남대는 ‘대전·세종·충청권 초실감형 나노·반도체 공동연구소’를 통해 연간 반도체 전문인력을 1,500명 양성하고, 충청권 반도체 산업에 기술 및 제품 지원, 제품 테스트 베드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또한, 연구소 및 산업체 재직 인력에 교육을 제공하고 충청권 반도체 연구소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연간 100건 이상의 핵심기술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이에 앞서 충남대는 교육부로부터 첨단분야 정원 배정에 따라 ‘반도체융합학과’와 ‘에너지공학과’의 신설 및 증원을 승인받은 바 있어, 이번 반도체공동연구소 사업 선정으로 미래산업의 핵심 분야인 반도체 인재 양성과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충남대는 최근 정부가 지정한 나노·반도체 국가첨단산업단지가 대전시에 조성됨에 따라 대전의 지역 특성화 전략에 맞는 나노·반도체 분야의 교육·연구 중심 역할이 반도체 분야 전문 인력 양성과 연구·개발 등에 시너지가 기대되고 있다.

이번 충남대의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는 충남대는 물론 대전시와 산업체, 출연연 등 지역사회의 의지가 결집한 결과로 분석된다. 

대전시는 이번 반도체공동연구소 사업에 정부와 1:1 사업대응자금(164억원) 매칭을 약속했으며, 민선 8기 대전 4대 핵심산업으로 나노·반도체를 선정하고 나노·반도체 국가첨단산업단지 건립 확정에 이어 관련 대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 대전을 나노·반도체의 메카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이진숙 총장은 “반도체공동연구소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충남대가 국가반도체 인력양성의 중심으로 발돋움할 수 있게 됐다”며 “충청권 초실감용 나노·반도체 공동연구소에 대학의 역량을 집중하고 지자체 등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연계를 통해 대전·세종·충청 지역을 반도체 산업의 메카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업 선정은 충남대만의 노력이 아닌, 대전시를 비롯한 지자체와 산업계 등 지역 사회 전체가 혼연일체가 돼 노력해 이룬 쾌거”라며 “앞으로 대전·세종·충청지역이 대한민국은 물론 전 세계 반도체 산업을 선도하는 국가 차원의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광역시 이장우 시장은 ”첨단전략산업단지의 활성화를 위해 권역 내 기업, 연구소, 대학 등 관련 기관과 다각도로 논의할수록 반도체 산업의 인력 부족과 우수 인재 양성이 필요함을 확인했다“며 ”국가첨단산업단지 내 교육 기능과 충남대 반도체 공동연구소를 적극 연계해 인력양성 문제 해결의 시발점이 되도록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광역시의회 이상래 의장은 ”대전시가 미래 핵심 전략으로 나노·반도체 산업을 선정했고, 지난 1월 의회는 ‘대전광역시 반도체 산업 육성 및 지원조례’를 지정했다“며 ”이번 반도체공동연구소 사업 선정으로 대전을 비롯한 충청권이 나노·반도체 분야의 핵심지역으로 발돋움할 전기가 마련된 만큼 시의회와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Ⅳ권역(대전,충남,충북) 권역별 반도체 공동연구소는 충남대학교 대덕캠퍼스 공대 1호관 인근에 건립될 예정으로 2026년 개소할 예정이다. 




페이지 관리자 | 대외협력실(5015)

관리자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