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CNU HALL OF FAME. CNU명예의 전당. 'CUN 명예의 전당'은 국·내외적으로 탁월한 수준의 연구 또는 교육 업적을 인정받아 충남대학교의 위상과 명예를 드높인 석학교수의 공로를 치하하기 위하여 마련되었습니다. 'CNU 명예의 전당'에 모시는 분은 석학교수로 선정된 전임교원입니다. 'CNU 명예의 전당'에 현액된 CNU 석학교수에게 진심으로 존경과 감사를 표합니다.

2024년 재직 우수연구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김용주
공과대학 컴퓨터융합학부 김영국 교수
연구분야
  • 데이터베이스, 상황인지 추천시스템, 스마트정보시스템(IoT), 바이오AI융합
연구성과
  • 대형연구사업(LINC/LINC+사업, 창업선도대학육성사업) 총괄 수행
  • AI융합연구센터지원사업 총괄 수행 (특허등록/출원 23건, SCI(E)논문 37건 등)
  • AI융합혁신인재양성지원사업 총괄 수행 (특허등록/출원 17건, SCI(E)논문 31건 등)
  • IT/AI융합기술 관련 기술이전 14건
수상사항
  • 2012년 중기청장상 수상 (R&D 및 사업화우수과제부문)
  • 2014년 대전시 경제과학대상(산학협동부분) 수상
  • 2016년 BigComp2016 Best Presentation
  • 2019년 IEEE ITEC2019 Best Paper Award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김용주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김용주
연구분야
  • 100 kW급 친환경 전동(총륜구동) 트랙터 개발
  • 농기계 텔레메틱스 기술 개발
  • 트랙터 자율주행 기술 개발
연구성과
  • 지능형 트랙터분야 기술이전, 특허 등 우수성과 달성을 통한 기술발전에 기여
  • (최근 5년간 지능형 트랙터 분야 국내 특허 출원을 70건, 등록을 58건)
  • 유상 기술이전 56건을 통한 기술료 총 1,269,560천원 (연평균181,365천원)
  • 지능형 트랙터 기술 관련 대형 기술이전(100,000천원 이상)을 5건 체결 (총630,000천원)
  • 지능형 트랙터 관련 연구과제 34건(9,132,134천원)을 수행
  • SCI(E), SCOPUS 99편, 국내학회지 85편, 학술대회 523건
수상사항
  • 농림축산식품 과학기술대상 장관상
  • 미국 농생물공학회(ASABE) 최우수 논문상
  •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국무총리상
  • 농림수산식품부 농정시책분야 장관상
  • LS엠트론 CEO상
  •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 부분 산학협력 교육부 장관상
  • 충남대학교 우수연구자 표창장
  • 충남대학교 연구유공자 표창장
  • CPR (CNU-outstanding Research-Paper Researcher) 표창장
  • CFR (CNU-outstanding Research-Funding Researcher) 표창장
학회 및 대외활동
  • 대전광역시 기업유치심의 위원회 위원
  • 농업용전자통신분야(ISO/TC23/SC19) 전문위원회 위원
  • 농림식품과학기술위원회 위원
  • 사단법인 유공압건설기계학회 편집이사
  • Agronomy “Informatics for Digital Farming” Guest Editor
  • 대한기계학회 IT융합부문 산학협력이사
  • 유공압건설기계학회 학술이사
  • Agronomy Special Editor
  • IJABE Editor
  • 한국농업기계학회 이사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김종훈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김종훈
연구분야
  •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및 전력전자(전기자동차 분야 등)
연구성과
  • 배터리관리시스템(BMS)분야 국내 1호 박사로 전기자동차 등 다양한 연구개발과제 수행
  • 우수연구성과 국제저널 180편 게재, 4편 게재 대기 중(2024년 3월 현재)
  • 국가연구개발과제 및 다양한 용역과제 수행으로 BMS 연구개발 및 해당 전문인력양성
  •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저장시스템 화재사고 조사/전문위원으로 활동 중
주요 수상사항
  • 전력전자학회 등 국내외 학회 우수논문상 다수 수상
  • 2020년 충남대학교 연구기여상, 2021년/2022년 충남대학교 우수연구자(연구비/연구실적 중복)
  • 2023년 충남대학교 우수연구자(연구비/연구실적 중복; 재직부문 유일)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나준희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나준희
연구분야
  • 광학적 비등방소재 기반 광제어 연구 및 소프트 로보틱스 연구
연구성과
  • 2021년 기초연구실 선정: 광학적 비등방성 복합소재를 활용한 분자단위 제어를 통한 광소자 연구
  • 2000년 우수신진과제 선정: 공간 광변조 기반 선택적 다중 표면 미세 구조체 형성 연구
  • 그 외에 전파산업핵심기술개발 및 국책연구소 연구과제에 참여하고 있음.
주요 수상사항
  • 2021년 CNU우수연구자(연구실적부문)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학과 박상언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학과 박상언
연구분야
  • 식물대사공학 기술을 이용한 식의약 소재(기능성물질) 생산
연구성과
  • 논문 490편(분야별 상위 10% SCI급 논문 50여편, SCI급 논문 350여편 포함) , 특허 7건, 저서 12편등 발표.
  • 국내외학술대회에서 12회 우수논문 발표상을 수상.
  • 교수, 연구사, 국책연구소 연구원등 다양한 분야에 인재 배출
주요 수상사항
  • 2019년 5월 대통령표창
공과대학 유기응용재료공학과 박원호
공과대학 유기응용재료공학과 박원호
연구분야
  • 환경친화성 및 생체친화성 고분자 재료에 대한 기초, 설계 및 응용연구
연구성과
  • 현재까지 280편 이상의 국제학술지 논문발표 및 750편 이상의 국내외 학술발표 실적을 도출하였고, 정부기관이나 산업체로부터 꾸준히 연구비를 제공받아 30년 이상 환경친화성 및 생체친화성 고분자 재료에 대한 기초 및 응용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음. 2000년 초에 전기방사라는 새로운 나노섬유 제조방식을 고분자 연구에 접목시키면서 나노섬유 지지체의 제조 및 응용 연구를 시작하여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논문 및 특허 등 우수한 성과를 도출한 바 있음.
주요 수상사항
  • 2005. 4. 22. 학술상 (한국섬유공학회)
  • 2011. 11. 2. 메디텍스상 (한국섬유공학회)
사범대학 교육학과 반재천
사범대학 교육학과 반재천
연구분야
  • 기초학력 진단 및 수행평가, 문항반응이론 등 각종 성취도 측정 평가
연구성과
  •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 전국 초1~고2까지 활용하는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의 콘텐츠인 기초학력 진단검사, 기초학력 향상도 검사, 보충학습 지도자료를 개발 및 전국 학교에 보급하여, 학생들의 기초학력 진단 및 향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보정 학습을 지원함. 또한 기초학력 진단 및 보정의 허브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국 학교에서 충남대 위상 제고에 기여
주요 수상사항
  • 충남대 우수연구자 11회 수상
  • 교육부장관 표창장 2회(기초학력 유공)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이재범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이재범
연구분야
  • 금속/자성입자 합성, 마그네토플라즈모닉 양자역학, 나노입자 자가조립, 2D 물질,
  • 전산모사 (COMSOL/DFT/MD)
  • 전기화학 촉매, 베터리/수퍼케패시터
  • 초정밀 화합물/바이오 센싱 플랫폼 개발
연구성과
  • 자성금속입자 (core-shell 구조) 대량생산/상업화 성공 (바이오전처리 혁신)
  • 카이럴 초전도 형광물질 (FeSe)의 습식경로 합성방법 발견: 대량생산/바이오/전자전기 응용
  • 나노입자 합성/바이오센서/에너지촉매 분야로 논문(260여편), 특허(80여편) 출원등록
  • 국제화 연구 인력의 수준 높은 연구 수행 (+25명 석박사배출, 국내외 12명 현직 교수임용)
주요 수상사항
  • 영인과학 분석화학학술상, 대한화학회, 2023
  • 우수연구표창상, 과학기술부, 2017
  • 올해의 40대 발명, 나노코리아, 2014
  • 최우수 연구교원상, 부산대학교, 2011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이종수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이종수
연구분야
  • 예방수의학분야로 사람과 동물의 바이러스성, 세균성 감염병 연구
연구성과
  • 이종수교수는 바이러스(세균)감염과 숙주와의 관계연구를 비롯하여 구제역 및 아프리카돼지열병 연구 그리고 여러 감염병관련 백신과 어쥬번트 개발 연구등을 통해 Nature Immunology, Nature Cell Biology, Nature Communication, EMBO Journal, Cell Reports, Frotiers in Immunology, PLOS Pathogens 등을 포함한 약 108편이상의 감염병관련 세계적 저명 연구논문을 발표하였고, 현재에도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현재 교육부의 대학중점연구소 사업을 비롯한 여러 정부연구과제들의 지원을 받아 다양한 감염병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인정받아 우수연구자(연구비부분)에 선정됨
주요 수상사항
  • 2005년 과학기술부 장영실상
  • 2022년 최우수안전관리연구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 2019년 충남대학교 연구기여상
  • 2020년 충남대학교 연구기여상
  • 2021년 충남대학교 우수연구자상
  • 2022년 충남대학교 우수연구자상
  • 2023년 충남대학교 우수연구자상
사범대학 기술교육과 이태윤
사범대학 기술교육과 이태윤
연구분야
  •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유해물질을 신속·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멀티스케일 디바이스 연구
연구성과
  • 토양 및 수원의 오염원을 현장에서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나노구조/소재 적용 고감도 전기화학 센서 및 시료 전처리, 유동 반응 최적화, 반응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나노/마이크로 채널 개발
주요 수상사항
  • 2023 충남대학교 우수연구자 (CPR 부분)
사범대학 기계공학교육과 이후승
사범대학 기계공학교육과 이후승
연구분야
  • 레이저 기반 표면처리 및 미세패턴 제조
  • 3D프린팅을 활용한 나노액추에이터 설계 및 활용
연구성과
  • 기계설계기반 액추에이터 제작, 물리화학기반 나노입자합성, 레이저기반 소재가공, 표면공학기반 소자분석, 반도체공학기반 소자 신뢰성 평가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 걸쳐 35편의 SCI논문 게재 및 20여 건의 특허 보유
주요 수상사항
  • 한국생산제조학회 논문 우수발표상, Young Engineer Award 등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정선옥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정선옥
연구분야
  • 생물생산작업기계 및 정밀농업기술 개발
  • GPS·GIS·RS등 이용 친환경 정밀농업
  • 친환경 농업 인증 및 농산물 재배 이력 관리
연구성과
  • 스마트농업 특수대학원 설립 및 운영(2020~2024, 총 사업비 2,000,000천원)을 통한 스마트농업 보급 확산 및 현장실무형 인재양성
  • 정밀농업기술 및 농기계 분야 국내 특허 달성을 통한 기술 발전에 기여
  • 논문 13건(SCIE급 4건, KCI 9건)
  • 정밀농업기계 분야 연구과제 23건(3,358,260천원)을 수행
주요 수상사항
  • 과학기술우수논문상
  • 미국 농생물공학회(ASABE) 최우수논문상 3회
  • 충남대학교 우수연구자상 등 다수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조병관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조병관
연구분야
  • 비파괴 농축산식품 스마트 센싱기술 개발
  • 초분광 영상측정 응용기술 개발
  • 인공지능 영상 및 분광분석기술 개발
연구성과(2022년)
  • 논문 22건(SCIE급 19건, KC1 3건)
  • 첨단 비파괴 센서 기술 분야 국내 특허 달성을 통한 기술 발전에 기여
주요 수상사항
  • 농림축산식품 장관상
  • 질병관리청장상
  • 화농상(화농연학재단)
  • 학술상, 국제학술상, 국제화공로상(한국농업기계학회)
  • 미국 농공학회 우수논문상 3회
  • 충남대학교 우수연구자상 등 다수

2024년 신임 우수연구자

공과대학 응용화학공학과 김성탁
공과대학 응용화학공학과 김성탁
연구분야
  • 친환경 수소에너지 생산과 활용을 위한 수전해 및 수소정제 촉매 개발
  • 온실가스 및 폐탄소자원의 고부가 화합물로의 전환을 위한 촉매 및 반응기술 개발
  • 에너지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다공성 소재와 나노 금속 촉매 합성기술 개발
연구성과
  • 산업체 에로기술 해결을 위한 산학협력과제 수행 (1.5억원)
  • 에너지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연구과제 다수 수행 (6억원)
  • SCIE 논문 5건(주저자)게재, 특허등록 1건, 특허출원 3건
  • 기술이전 1건
주요 수상사항
  • 2024. 02. CNU 우수연구자 선정
  • 2024. 01. 2023 산학협력 대학기술경영 촉진사업 성과우수자 선정
  • 2023. 12. 대전세종지방 중소벤처기업청장상
  • 2023. 11. SK에코플랜트 Open Innovation Contech Meet-up 에너지부문 우수상
  • 2023. 09. TIPS-CNU start-up IR 우수발표자 선정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김준형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김준형
연구분야
  • 기하학적 위상수학
연구성과(2022년)
  • 복소 쌍곡 Kleinian 군과 사원 쌍곡 Kleinian 군을 trace field를 이용하여 연구
  • 복소/사원 쌍곡 기하학 관련 SCI(E)급 연구논문 10여편
  • 2014년-2023년 한국연구재단 연구비 수주(신진연구, 지역대학 등)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에너지과학기술학과 신혜영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에너지과학기술학과 신혜영
연구분야
  • 에너지 소재/시스템의 전산 모델링, 분석 및 설계
연구성과
  • Angew. Chem. Int. Edi. 60, 2 (2021) -selected as a Hot Paper
  • J. Am. Chem. Soc. 144, 15185 (2022)
  • Small 2204797 (2022) -highlighted as a front cover
  • ACS Energy Lett. 8, 2331 (2023)
  • Appl. Catal. B: Environ. 343, 123568 (2024)
주요 수상사항
  • Selected as 2017 Rising Researcher in Korea,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7
  • Winner of Schrödinger's Excellence in Materials Science Applications Publication Contest, Schrödinger Inc., 2017
경상대학 경영학부 이준호
경상대학 경영학부 이준호
연구분야
  • 생산운영 스케줄링 및 최적화
연구성과
  • 이준호 교수는 자동화 생산시스템의 스케줄링 및 최적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거의 모든 공정이 자동화된 반도체 생산라인의 스케줄링 및 최적화가 주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등의 머신러닝 방법론을 선도적으로 적용하여 생산시스템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결과들을 국제저명학술지에 출판하였으며 이를 통해 많은 인용과 후속연구들을 이끌어냈다.
주요 수상사항
  • Best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utomation Paper (Technical Committee 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utomation, IEEE Robotics & Automation Society)
  • Top-Cited 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에너지과학기술학과 임종철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에너지과학기술학과 임종철
연구분야
  • 차세대 하이브리드 탠덤 태양전지 계면 공정
  • LED - 광센서 융합 UAM 용 LiDAR 개발
  • 기계학습 오페란도 융합 분광분석 플랫폼 개발
  • 레이저 기반 신규 광물리 분광분석 원천기술 개발
연구성과
  • 태양전지, LED, 광센서, LiDAR 등 다양한 광전자 소자 내부에서 빛–전하–시간 3 요소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소자의 성능 향상 및 차세대 소자 개발의 핵심. 이를 위해 광물리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머신러닝과 오페란도를 융합한 레이저 분광분석 원천기술을 개발함. 태양전지, LED, 센서 등 광전자 소자의 구동 메카니즘 및 장기 안정성 규명, 신소재 개발 등을 연구하고, 충남대 부임 후 4년간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 47편 게재 (상위 10% 20편).
주요 수상사항
  • 2021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신진과학자상
  • 2023 한국고분자학회 신진학술상
  • 2023 충남대학교 우수연구자상


페이지 관리자 |

관리자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