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게재문의]
홍보실 Tel : 821-5015,7047 / E-Mail : hongbo@cnu.ac.kr

안현주 교수팀, ‘Mass Spectrometry Reviews’ 논문 게재

내용보기
안현주 교수팀, ‘Mass Spectrometry Reviews’ 논문 게재 사진1

바이오의약품 품질관리 혁신을 위한 글라이코믹스 기반 첨단 분석 플랫폼 제시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분석과학기술대학원 안현주 교수 연구팀이 바이오의약품의 품질관리 기술 발전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연구팀은 10년 이상 축적해 온 바이오의약품 당 특성분석법 연구 성과를 집대성한 논문을 질량분석학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Mass Spectrometry Reviews’에 게재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번 논문은 분석과학기술대학원 안현주 교수가 교신저자로, 오명진 연구교수가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spectroscopy 분야 최정상급 학술지 ‘Mass Spectrometry  Reviews’(IF: 8.887)에 정식 출판에 앞서 온라인에 우선 게재됐다. (논문 제목 : MS-based Glycome Characterization of Biotherapeutics with N- and O- Glycosylation)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현재 글로벌 제약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로, 국내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글로벌 기업들의 활약으로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 속에서 바이오의약품의 품질관리 기술은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하는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안현주 교수팀은 바이오의약품의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인 '당쇄화 분석' 분야에서 첨단 분석기술을 개발하며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해 왔다. 단백질 의약품의 당쇄화(glycosylation)는 약물의 안정성, 효능, 체내 반감기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품질특성으로, 당 구조를 정확히 분석하고 제어하는 기술은 바이오의약품 개발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안현주 교수는 “바이오의약품의 당 구조 분석은 제품의 일관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핵심 기술”이라며 ”연구팀이 개발한 분석법들은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품질관리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했으며 실제 국내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력 향상을 지원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번 리뷰 논문은 지난 10년간 연구팀이 개발해온 다양한 바이오의약품 당 특성분석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특히 Mass Spectrometry Reviews와 같은 해당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 게재는 연구팀의 기술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내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성장할수록 품질관리 기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며, 이번에 체계화된 분석법들은 국내 바이오제약 기업들의 제품 개발과 품질관리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앞으로도 바이오의약품 분석기술 발전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며,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 성과의 실용화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페이지 관리자 |

관리자메일